정부 '인재 양성 계획'
팹리스 취업 연계 프로젝트 추진
"전문 인력 2년내 4,800명 배출"
정부는 ‘K반도체 벨트 전략’을 통해 시스템 반도체 등 전반적인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력 양성에도 팔을 걷어붙일 방침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정부가 ‘000명 충원’과 같은 숫자에 집착하지 말고 산업계와 함께하는 인력 양성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시스템 반도체는 장비와 운영 노하우 중심의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설계 능력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만큼 대학원 중심의 핵심 인재 양성에 보다 공을 들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향후 2년간 총 4,800여 명의 반도체 인력을 배출한다는 방침을 제시해놓고 있다. 아울러 핵심 기술 연구개발(R&D)과 채용 유도까지 연계하는 민관 합동 프로젝트 추진 등으로 향후 10년간 3,000여 명의 석·박사급 인력을 배출할 계획이다.
하지만 반도체 업계는 여전히 전문 인력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산업부의 지난해 산업기술 인력 수급 실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1,423명 수준이던 반도체 부족 인력은 2018년(1,528명)과 2019년(1,579명) 계속 증가 추세를 보였다. 반도체 산업의 인력 부족률도 같은 기간 1.5%에서 2년 사이 1.6%로 늘었다. 교육계는 올해 삼성전자와의 채용 연계를 통해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신입생으로 50명을, SK하이닉스와의 채용 연계로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신입생 30명을 각각 선발했지만 시장 수요 대비 턱없이 모자란 셈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인력 공급과 시장의 수요 간 ‘미스매치’가 발생한다며 보다 시장 지향적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구용서 단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시스템 반도체 등 주요 반도체 산업의 경우 기업이 추진하는 과제에 필요한 인력을 정부가 채워주는 형태로 협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반도체 테스트 등 학부 수준의 반도체 인력 양성에도 보다 신경 써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미국이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자체 설계하는 애플을 비롯해 인텔·엔비디아 등 실리콘밸리에 자리한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를 중심으로 반도체 생태계가 잘 발달한 것은 스탠퍼드와 버클리 등 인근 대학과의 ‘산학 협력’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반도체 핵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정부 예산을 보다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박영준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는 “요즘 반도체 인력 시장을 보면 인재들이 오지 않으려 한다”며 “반도체 연구비가 지금까지 모자라다 보니 좋은 교수가 오지 않고, 또 좋은 학생이 오지 않는 현상이 자주 관찰된 만큼 연구비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2L3FZQS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