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학교 반도체 설계 연구실
NEWS
HOME
RESEARCH
ESD Protection
PMIC
Wide Band-Gap Semiconductor
Power Semiconductor
PROJECT
INPROGRESS
COMPLETED
MEMBER
PROFESSOR
Lab Members
Alumni
PUBLICATIONS
SCI
KCI / CONFERENCE
IPRS
PATENTS
IPs
NEWS
LOCATION
전체 카테고리
정렬:
최근 활동
문의 게시물
kso804
[ETNEWS](2020.12.27) [기고]시스템반도체 전문 연구인력 양성 절실하다
in
FREE BOARD
트랜지스터가 처음 개발된 1947년 전 세계 인구는 약 20억명, 미국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에서 반도체를 최초 생산한 1961년에는 약 30억명 수준이었다. 약 50억명 인구이던 1990년 이후 전 세계가 글로벌 시대로 전환되면서 '자기 PR시대'라는 용어가 나오게 됐다. 전 세계 인구가 77억명을 돌파한 현재 이는 더 이상 회자되지 않는 매우 당연한 용어가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1월 15일
kso804
[ETNEWS](2020.09.10) [이슈분석]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개발 사업 본격 스타트
in
FREE BOARD
# 정부가 국내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하는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이 본격 닻을 올렸다. 이 사업은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큰 반도체 기술, 특히 인공지능(AI) 중심의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다. 차세대 반도체 시장을 좌우할 고성능, 저 전력 반도체 핵심 기술 개발로 반도체 생태계 균형 발전과 미래 산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1월 15일
kso804
[ETNEWS](2020.07.05) 구용서 단국대 교수팀, '정전기 방전 최소화' SiC 칩 기술 세계 최초 개발
in
FREE BOARD
차세대 칩으로 주목받는 실리콘카바이드(SiC) 반도체의 정전기 방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SiC는 고온과 고압에서 기존 실리콘보다 잘 견디는 장점이 있지만 정전기 손상에 취약하다는 게 단점으로 꼽혀왔다. 이번 개발로 SiC 칩의 단점을 대폭 개선해 응용 분야를 넓힐 수 있게 됐다. 5일 업계에 따르면 구용서 단국대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7월 6일
kso804
[ETNEWS](2020.04.22) [이슈분석] '토종' 예스파워테크닉스, 글로벌 SiC 반도체 시장 공략
in
FREE BOARD
#지난 21일 포항 나노융합기술원 안에 위치한 예스파워테크닉스 반도체 생산라인. 빛으로 웨이퍼에 회로 모양을 반복적으로 찍어내는 노광기 앞에서 연구원 2명이 공정 과정을 유심히 확인하고 있다. 노란 조명이 비치는 노광 공정 구간은 반도체 제조가 분주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웨이퍼에 닿는 빛이 회로 모양을 머금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포토마스크가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7월 1일
kso804
[ELEC4](2019.05.07) [인터뷰] 파워반도체, 사업화에 총력 ′시스템반도체 발전에 기여′
in
FREE BOARD
실리콘 기반은 슈퍼정션, SiC는 트렌치게이트에 역점 제아무리 기술이 날고뛰어도 전력 에너지원 없이는 성립할 수 없다. 값비싼 자동차도 기름없이 갈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첨단 기술이라 일컬어지는 인공지능이라도 별 수 없다. 테크놀로지를 구현하는 모든 디바이스와 시스템은 전력 에너지에 기대고 있고, 전력 공급 시스템은 최소의 전력으로 최대 효율을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6일
kso804
[서울경제](2019.04.24) [돌파구 찾는 IT코리아]삼성, 비메모리133兆 투자
in
FREE BOARD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부회장이 비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실력을 보여주기 위해 133조원을 투자한다. 24일 삼성전자는 오는 2030년 비메모리 분야에서도 글로벌 1위에 오르기 위해 133조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연평균 11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다. 초격차전략으로 독보적인 글로벌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메모리반도체의 DNA를 비메모리반도체로 옮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5일
kso804
[서울경제](2018.09.25) 사일로 현상에 갇힌 한국 반도체…파운드리가 팹리스 육성해야
in
FREE BOARD
국내 반도체 산업의 불균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칩 설계 능력이 갈수록 중시되는 4차 산업 혁명을 맞아 ‘사일로(silo·다른 조직과 교류·협업하지 않는 것) 현상’을 극복하지 못 하면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구용서 단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는 반도체 기업 간 협업 시스템 구축을 강조한다. 구 교수 는 “대만만 해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5일
kso804
[서울경제](2018.09.10) [中 반도체 굴기, 위기의 한국]1,400 vs 100…"반도체 설계능력 못키우면 4차 혁명서 도태"
in
FREE BOARD
1,400개사 VS 100개사. 팹리스(반도체 설계) 등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국내 업체 수는 중국의 7% 남짓에 불과하다. 말 그대로 조족지혈 수준이다. 이런 기반 차이는 4차 산업 혁명을 맞아 갈수록 설계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는 미래 반도체 경쟁에서 우리가 중국에 밀리는 결정적 이유가 되고 있다. 당장 돈이 되는 메모리에 역량이 편중된 탓에 반도체 강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5일
kso804
[서울경제](2018.07.03) [10대 주력업종 정밀진단] 정부·기업, 파운드리·팹리스 공동육성...반도체 스타트업 지원 조직도 신설을
in
FREE BOARD
“우리나라는 반도체 강국이 아니라 메모리 편중 강국에 불과합니다. 메모리 초격차를 유지하고 비메모리를 육성하려면 설계·제조·후공정·소재·장비 업계의 경쟁력을 모두 높일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구용서 단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전문가들은 반도체 위기 타개의 해법으로 반도체 생태계 조성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정부·기업·학계 등 관련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5일
kso804
[HELLO.DD](2017.12.19) 文 정부 '과기 정책' 지원 누가 맡았나?
in
FREE BOARD
문재인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을 자문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출범한 가운데 국가 과학기술을 책임질 이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우선 대통령 직속의 국가 과학기술자문회의가 지난 18일 제1차 전체회의를 가졌다. 대통령 직속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주요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대통령 자문을 위해 설치, 대통령이 의장을 맡는다. 1기 국가과학기술자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5일
kso804
[NEWS1](2020.11.27) 차세대 SiC반도체 정전기 방전 최소화 기술 세계 최초 개발
in
FREE BOARD
단국대는 구용서 교수 팀(공과대학 전자전기공학부)이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꼽히는 실리콘카바이드(SiC)를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의 정전기 방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SiC 반도체는 4차 산업으로 일컬어지는 전기자동차, 신재생 에너지 등의 발전에 필요한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2020년에 약 10억 달러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1월 15일
kso804
[ETNEWS](2020.07.26) 삼성-인텔, '파운드리 빅딜' 기회 온다…인텔 "7나노 생산 차질, 외부와 협력 추진"
in
FREE BOARD
인텔이 7나노(㎚) 반도체 제조에 차질을 빚으면서 외부 파운드리 업체와의 협력 가능성을 언급해 주목된다. 7나노 이하 미세공정 기술을 보유한 파운드리 업체는 세계 TSMC와 삼성전자뿐이다. 세계 최대 반도체 업체인 인텔이 파운드리 업계 던질 파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데스크톱 PC용 CPU 인10세대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7월 29일
kso804
[ETNEWS](2020.06.25) [이슈분석] 시스템반도체 육성전략 1년…"업계에 '훈풍' 불었지만, 인력·툴 지원 더 강화해야"
in
FREE BOARD
# 지난해 4월 30일 정부가 발표한 시스템반도체 육성전략은 메모리 중심이던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혁신할 정책으로 큰 관심을 끌었다. 특히 '비메모리' 산업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각별한 관심이 반영됐다. 이후 삼성전자의 '2030 시스템반도체 1위 전략'까지 이어지면서 메모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했던 시스템반도체 업계에 활력이 돌았다. 정부의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7월 1일
kso804
[연합뉴스](2019.09.30) AI·5G·수소경제 전문가 107명 혁신성장 자문위원 위촉
in
FREE BOARD
(세종=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기획재정부는 혁신성장 성과 창출을 위해 전문가 107명을 '제2기 혁신성장 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고 30일 밝혔다. 자문위원들은 규제혁신, 데이터·인공지능(AI)·5G·수소경제 등 플랫폼, 미래차·바이오·시스템반도체·스마트 공장·스마트 시티·에너지신산업·스마트팜·핀테크·드론 등 선도사업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됐다. 1기 자문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7일
kso804
[아이뉴스24](2019.06.20)"시스템반도체산업, 연구인력 부족부터 해결해야"
in
FREE BOARD
[아이뉴스24 조석근 기자] 국내 반도체 업계의 2030년 글로벌 종합 1위 목표를 측면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계획이 구체화되고 있다. 정부가 1조원의 예산을 투입, 시스템 반도체 수요를 직접 발굴하고 연구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 사업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끝난 가운데 9월까지 사업추진단이 구성된다. 그러나 이같은 야심찬 계획에도 업계의 불안은 여전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5일
kso804
[서울경제](2019.01.18) [삼성, 엔비디아 GPU 위탁생산] 삼성 vs TSMC…막오른 7나노 기술경쟁
in
FREE BOARD
메모리 반도체 시황이 고점을 찍고 하락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반도체 업계의 위탁생산 경쟁도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 그래픽처리장치(GPU) 업계 1위인 엔비디아가 삼성전자(005930) 를 선택하며 7나노 공정 수주전은 극자외선(EUV) 공정을 앞세운 삼성전자와 TSMC 간 첨단 기술력과 수율을 다투는 경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엔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5일
kso804
[서울경제](2018.09.19) 삼성 파운드리, 2보 전진 위한 1보 후퇴
in
FREE BOARD
삼성전자(005930) 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위탁생산(파운드리) 경쟁에서 세계 1위 업체인 대만 TSMC에 아깝게 고배를 마셨다. 중화권 매체들이 축포를 터뜨리지만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에 오히려 긍정적인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번 그래픽카드 시리즈가 대형으로 출시된 탓에 삼성이 TSMC에 밀렸어도 다음번에는 ‘칩 크기 축소’가 최대 화두로 떠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5일
kso804
[서울경제](2018.07.24) "삼성전자, 3세대 7나노 비메모리로 기회 찾고 폴더블 스마트폰·5G서 차별화해야"
in
FREE BOARD
전문가들은 삼성전자(005930) 의 위기 극복을 위해 당장 내년까지의 당면 과제인 3세대 7나노 비메모리 반도체, 폴더블 스마트폰, 5세대(5G) 이동통신 등에 집중해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남들보다 뼈를 깎는 연구개발(R&D)과 정부·기업의 치밀한 협업도 장기적으로 지속돼야 할 과제다. 반도체와 관련해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3세대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5일
kso804
[매일일보](2018.02.08) 반도체‧디스플레이 상생발전위원회 출범…업계, 80조 투자한다
in
FREE BOARD
{매일일보 이우열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8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전략 발표 및 상생발전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백운규 산업부 장관, 산업기반실장, 소재부품정책관 등 정부 관계자와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 진교영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사장,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서광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5일
kso804
[뉴시스](2017.11.21)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 업무협약식
in
FREE BOARD
【서울=뉴시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오후 부산시 강서구 부산테크노파크에서 열린 파워반도체 상용화사업 업무협약식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강서준 부산테크노파크 단장, 김영환 부산시 경제부시장,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성시헌 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 구용서 반도체연구조합 총괄책임자 (단국대 교수). 2017.11.21.
조회
0개의 답변
0
0개
최근 활동:
2020년 3월 25일